인사말 more 음악과 비평 이은지 작곡발표회 "Aura Textus" 리뷰 지난 12월 10일 화요일 이은지씨의 작곡발표회를 관람하였습니다. 저는 몇 년 전 문화예술전문지 ‘더무브’에 객원기자로 글을 쓸 때 그녀와 인터뷰를 한 인연이 있는데요... 2017년 (사)한국작곡가협회에서 주관하는 ‘파안생명나무 작곡가’에 그녀가 선정될 때 인터뷰 기사를 썼었답니다. 당시 그녀의 작품과 음악관에 대한 나눈 깊은 대화가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작곡가 이은지님이 독일 유학을 마치고 국내 활동을 본격 시작하던 때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그때 자신의 음악과 작품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했던 중요한 키워드는 “메타포”(metaphor: 행동, 개념, 물체 등이 지닌 특성을 그것과는 다르거나 상관없는 말로 대체하여, 간접적이며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일)와 “은유”(비유법의 하나로, 행동, 개념.. 2019.12.26 임재경 작곡발표회 "間" 리뷰 임재경 작곡 발표회 “間” 자연스러운 내면의 시상과 인위적인 구조 사이의 고민 지난 6월 18일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있었던 임재경의 작곡 리사이틀을 관람 후 느낀 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위의 부제와 같습니다. 작곡자가 이야기하는 ‘사이(間)’ 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서... 연주 순대로 , , , , , 등 총 6작품이 연주되었는데 각각은 제목이 쓰인 방식과 구상(concept)에서 차이가 있었지요. 그래서 프로그램 전체를 마지막 작품의 제목으로 한데 묶어 연주회의 주제로 삼은 것은 자주 통용되는 기획방식이지만, 각각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방향을 잘못 설정하게 할 소지도 있다고 더러 느꼈답니다. 연주회의 자세한 정보와 작곡가의 작품 해설은 여기 링크에서 보실 수 있으니 먼저 읽어보실 것을 권해요.. 2019.08.09 2017 제45회 범 음악제 리뷰 II - 서울 콘서트 Day-3 지난 리뷰인 서울 콘서트 둘째날 리뷰 (여기링크)에 이어 범음악제 서울 콘서트 셋째날 리뷰를 연재 합니다.지난 리뷰 때 언급했듯이 사정이 있어서 리뷰가 많이 늦은 점 양해 바랍니다. 이날 연주회는 의 연주로 역시 국내외 8명의 작곡가의 작품이 소개가 되었는데요...21세기 바로크 앙상블은 "바로크와 21세기의 어울림"을 모토로 하여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걸맞는 바로크 음악을 다양한 형태로 선사하는 활동을 한다고 소개하고 있네요. 한연숙(비올라), 정욱(기타), 신윤희(리코더), 이헬렌(첼로), 김희정(쳄발로)로 구성된 악단으로 이날 콘서트에는 진솔 님이 객원지휘로 참여했습니다. 21세기 바로크 앙상블의 리허설 모습 (지휘. 진솔) 그럼 각각의 곡에 대한 리뷰를 이어가겠습니다. 다른 포스팅들과 마찬가.. 2017.11.27 2017 제45회 범 음악제 리뷰 I - 서울 콘서트 Day-2 오랜만에 블로그 포스팅을 합니다. 그동안 공연 리뷰글은 잡지에다만 기고해와 블로그 운영을 쉬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범음악제 운영위로부터 리뷰를 부탁을 받아서 글을 썼는데 2달이 지난 지금에야 포스팅을 하네요...ㅠㅠ 그 이유는 제가 브라우저 보안 설정을 해둔 탓에 블로그 임시저장이 안되어 썼던 글을 통째로 날리고 말았답니다...ㅠㅠ 그래서 제 때 약속을 못지키게 되었습니다. ㅠㅠ 그러다 혹시나 블로그로 옮기기 전 HWP로 작성했던 한글에 자동 백업이 남아있지 않을까 갑자기 생각나서 탐색기를 뒤져 보니 다행히 첫번째 리뷰글은 80%, 두번째 리뷰글은 약 50% 쓰다가 저장된 상태의 백업이 남아있었네요..할렐루야! 그래서 오늘 시간내어 기억을 더듬고 더듬어 저장되지 않은 부분을 완성해 포스팅 합니다. 본의 .. 2017.11.24 하우스 콘서트 - 작곡가 시리즈 5. 이의경 <삶과 노이즈> 리뷰 정말 오랜만에 공연리뷰를 올리네요. 그동안 여러 연주회/공연 등을 다녀왔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포스팅을 계속 미루다 보니 못 올린 글이 참 많네요... (무직자 주제에 이놈의 게으름이란ㅠㅠ) 오늘은 얼마전 (2015년 9월14일) 혜화동 예술가의 집 3층에서 있었던 "하우스콘서트" 작곡가 시리즈의 다섯번째 주인공인 이의경님의 공연 (링크)를 리뷰합니다. 작곡가? 미디어아티스트? 전시예술가? 전자음악가? 아무튼 이것저것 복합된 작품을 선보인 융합예술가(!) 이의경은 이제 막 30을 넘긴 젊은 예술가인데요... 특이하게 일본에서 유학한 경력이 있네요. 90년대 이후로는 일본 유학이 젊은 예술가들 사이에서는 별로 선호되고 있지 않기에 좀 색다른 이력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독일의 슈투트가르트에서 유학하고 있다는.. 2015.09.16 more 칼럼/에세이 예술에서의 탈(脫) 권위. [1] 단언컨데 예술에서 사전적 의미의 '탈 권위'는 없다. 단지 '모토(motto)'일 뿐이다. 탈 권위를 주장하는 이들이 기존의 길과 다른 길을 모색한 것은 맞겠지만, 기존 권위를 무너뜨린 것도 아니며 자신의 추종자를 배척한 것도 아니다. 단지 한 쪽 귀퉁이에서, 또는 여러 권위들 틈바구니에서 '탈 권위'를 '모토'로 하여 새 권위를 쌓았을 뿐이다. 그렇게 부상한 신(新)권위가 쌓여져간 길을 돌아보면, 그 과정은 그들이 싸우던 구(舊) 권위가 쌓아지던 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다. 20세기에 일어난 수 많은 신 예술운동에서 '탈 권위'와 '탈 전통'이 일종의 도그마(Dogma)로 작동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모든 권위로 부터의 억압을 거부한다던 서구의 68혁명 세대가 이후 보여준 권위주의적인 행태.. 2021.01.03 고전음악과 전통음악 얼마전에 아래와 같이 매우 흥미로운 칼럼을 읽게 되었습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5292039005&code=990100&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 [문화와 삶]음악을 지칭하는 말들 세상에는 음악 장르를 지칭하는 수많은 이름이 있다. K팝, 트로트, 재즈, 국악, 인디, 힙합, 월드뮤직, 뉴에... news.khan.co.kr 용어와 개념은 우리의 사고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대체로 공감하는 의견이고 비슷한 생각입니다. 다만, 고전과 전통의 카테고리가 다름은 구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국 ‘전통음악’을 한국 ‘고전음악’으로 바꾸어 부르는 데에도 고.. 2019.06.07 미학에 대해 (미학에 대한 소견입니다. 오늘은 조금 진지해져서 제 블로그 특유의 친근한 경어체+위키니트문체가 아닌 딱딱한 구어체로 쓰게 되네요. 양해해 주세요.) 아름다움 또는 ‘알음’다움 아름다움 즉 미(美)에 대해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미학(美學, Aesthetics)을 공부하다 보면 예술가/작가들이 쉽게 빠지는 함정 중에 하나가 바로 아름다움과 ‘알음’다움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우리가 공부하는 수많은 서구 근대 미학이론들이 논리학(論理學, logic)을 기반으로 철학에 귀속(?)(또는 깊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며 또한 철학의 고급스런 개념의 정립 하 에서만 그것이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s)으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서구의 근대 미학적 사고방식이 매우 개념 중심적인 이유이기도.. 2016.08.21 작곡가 류재준의 보도 및 홍보 자료 검증에 대해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요즘 개인적인 활동과 용무들로 글을 쓸만큼의 마음의 여유가 충분치 않아 그동안 글쓰기를 미루어 왔는데 요즘 서울국제음악제의 류재준 사태로 인해 음악계에 말이 많아 이 글을 쓰게 됩니다.(오늘은 조금 심각한 이야기고 고발성도 있는 이야기라 제 블로그 특유의 위키니트 문체가 아닌 진지한 문체로 씁니다.) 류재준 선생(사진출처-류재준 홈페이지). 사실 한국음악계에서 그동안 논란이 많은 인물로 진작에 그의 음악에 대해 비평을 하려 했는데 미루고 미루다 이번에 불미스런 사태(류재준, 구자범 교체논란 사과- 노컷뉴스-링크)가 터졌죠. 저는 그동안 그의 글에 공감하기도 하면서도 그의 음악 사이에서 나타나는 몇가지 의아점들이 있었기에 그에 대한 평가와 판단을 유보하고 있기는 했지만, 작곡계 내부.. 2016.05.23 한 원로의 기고글에 대해...... (한국음악계에서 자리잡고 일하려거든 좀 더 신중하게 말하고 행동하시라고 걱정하고 조언해 주시는 분들 덕에 요즘 대체로 자제하고 있습니다만, 이 삐딱한 천성을 어찌 못해 가끔 하고 픈 말은 해야겠습니다.) 70이 다 되신 음악계 원로 C선생님께서 지난 6월 동아일보에 기고하신 글이 지인의 FB-타임라인에 링크 되었기에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해당 글을 쓰신 분은 현재 수도권의 명문 사학 C대학교 예술대학의 명예교수이신데 평소 저도 그분의 지난 업적을 높게 평가하며 매우 존경하던 분입니다. 예전에 그분의 저서를 공부한 적도 있고 여러 글들을 읽어보았기에 그 분의 음악과 생각을 어렴풋이 나마 이해합니다. 6월에 기고하신 글도 대체로 타당한 주장이고 공감도 되었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본인 세대들의 과오로 인해 .. 2015.10.0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