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아티클 번역

마이크로토널리티 II - G.F. 하아스

by Muzik者 2021. 7. 12.

이 게시물은 '오스트리아 음악잡지' (Österreichen Musikzeitschrift) 1999년 6월호 9쪽 이하에 실린 작곡가 G.F. 하아스 (미 콜롬비아 대학교 작곡과 교수)의 기고문을 번역한 것입니다. 번역 분량 때문에 총 5~6차례에 나누어서 연재합니다.  원문 텍스트도 함께 싣습니다. 

 

전편 글 보기

[음악아티클 번역] - 마이크로토널리티 I - G.F. 하아스(링크)

 

알로이스 하바 (1957년)

 

Ansatzpunkte zur Mikrotonalität

 

Es ist hier nicht der Raum, eine Anthologie der unterschiedlichen mikrotonalen Möglichkeiten zu verfassen. Ohne Anspruch auf Vollstädigkeit möchte ich aber hier einige Ansatzpunkte näher beschreiben:

 

마이크로토널리티의 접근법

이 자리는 다양한 마이크로토널 사례집(문헌)을 서술할 공간이 아니다. 여기서는 완벽함을 요구하지 않고 그저 몇가지 접근방식만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Für Alois Hába is grundsätzlich jeder Zusammenhang (in welchem Tonsystem auch immer) komponierbar und jeder Klang kann mit jedem in einen sinnvollen Zusammenhang gestellt werden. (Dies gilts sinngemäß ebenso für die Entwicklung von Skalen.) Er stellt das Postualt einer völlig freien subjektiven Entscheidung der komponierenden Persönlichkeit auf.

 Iwan Wyschnegradsky filtert aus dem Kontinuum aller möglichen Tnhöhen zyklische Systeme von temperiert geteilten vergrößerten bzw. verkleinerten Oktaven. Der Viertelton ist für ihn ein erster wichtiger Schritt.

 

알로이스 하바[각주:1]의 경우 기본적으로 (어떤 톤 시스템에서든 항상) 모든 맥락이 구성 가능하며, 각각의 화음(Klang)은 각자의 합리적인(sinnvoll) 맥락 안에서 정렬 될 수 있다. (이는 음계의 개발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그는 완전히 자유롭고 주관적인 결정으로 개성(Persönlichkeit)을 구축해 공식(Postulat)을 정립했다.
이반 비슈네그라드스키[각주:2]는 조율된 옥타브를 분할, 확대 또는 축소하는 모든 가능한 음고 사이클 시스템의 연속성을 걸러냈다. 그에게 1/4음은 중요한 첫걸음이었다.

 


 Richard Heinrich Stein entwickelte 1906 bzw. 1909 eine tonale (!) vierteltönige Harmonielehre. Die heute üblichen Zeichen ‡, d, ⩩,  wurden von ihm erfunden. Im diametralen Gegensatz zum russischen Futurismus, wo Vierteltöne als Symbol neuer Welten verstanden werden, versucht Stein (wie auch sein Nachahmer Möllendorff) so etwas wie eine >>Gegenmoderne<<, eine an Wagner orientierte >>Überchromatik<<. Seins Vierteltonmusik ist nur in Fragmenten erhalten, Möllendorffs Arbeiten sind belanglos. 

리하르트 하인리히 슈타인[각주:3]은 1906년 내지 1909년에 조성적인(!) 1/4음정 화성법을 개발했는데. 오늘날의 통상적으로 쓰이는 ‡, d, ⩩ 등의 기호도 그가 고안했다. 1/4음들이 새 시대의 상징으로 이해되던 러시아 미래파와의 극단적인 대립안에서도 슈타인은 (묄렌도르프[각주:4] 와 같은 그의 모방자 역시) 바그너 지향의 "초월크로매틱[각주:5]" 같은 일종의 "안티-모던니즘[각주:6]"을 시도했다. 그의 1/4음 음악은 오직 미완성작품들에만 있으며 묄렌도르프의 작업들은 별로 중요치 않다. 


 Julián Carrillo entwickelt eine Technik, quasi in zoom-Effekten gleiche melodisch-gestische Gestalten in unterschiedlichen Tonsystem zu komponieren: bei gleichbleibender Rhythmik und Gestik werden Intervalle augmentiert bzw. diminiuert. Ähnliches hat schon Jörg Mager theoretisch entwickelt (>>musikalischer Storchschnabel<<, der eine vergrößerte oder verkleinerte Kopie von Gezeichnetem / Geschriebenem herstellen konnte.)
 Jean Etienne Marie legt unterschiedliche Tonsysteme (z.B. Drittel-, Viertel-, und Fünfteltonsystem) übereinander.

율리앙 카릴로[각주:7]는 선율 제스처 형태를 다양한 톤 시스템에서 작곡하려 줌 효과(zoom-effect) 같은 기법을 개발했다. 예컨대 리듬과 제스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한 음정은 벌어지거나 줄어든다. 이미 이와 유사한 것을 요르그 마거[각주:8] 또한 이론적으로 고안했다 (견본의 확대/축소 복사본을 생성할 수 있는 “뮤지컬 팬터그래프[각주:9]").

 

요르그 마거

 

 Jean Etienne Marie legt unterschiedliche Tonsysteme (z.B. Drittel-, Viertel-, und Fünfteltonsystem) übereinander.
 Easly Blackwood benutzt unterschiedliche Temperierungen (13 bis 24 Töne pro Oktave) und untersucht die Effekte des Zurechthörens tonaler Musik innerhalb dieser Systeme einschließlich der damit verbundenen Möglichkeiten von >>Irreführungen<< (z.B. durch einen Baßgang von 3 aufeinanderfolgenden etwas zu großen Tritonusintervllen von der Tonika zur Subdominante zu gelangen …).

장 에티엥 마리[각주:10]는 (1/3, 1/4, 1/5음 시스템 같이) 다양한 톤시스템을 겹쳐서 사용했다.
이즐리 블랙우드 쥬니어[각주:11]는 (옥타브 당 13~24음의) 다양한 조율법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 안에서의 조성음악 자세히 듣기 효과를 포함하여 그것과 연관된 오해의 가능성을 연구했다. (예를 들어 삼온음 보다 약간 큰 음정으로 3연속의 베이스 진행을 통해 으뜸음에서 버금딸림음에 도달…)

 

다음편에 계속....

 

번역: Muzik者

 

 

 

  1. Alois Hába (1893–1973,) 체코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이론가 [본문으로]
  2. Iwan Alexandervich Wyschnegradsky (1893-1979) 러시아제국 출신의 프랑스 작곡가(1920년에 망명) [본문으로]
  3. Richard Heinrich Stein (1882-1942). 독일의 음악이론가이자 작곡가. [본문으로]
  4. Möllendorff [본문으로]
  5. 독일어 원문엔 Überchromatik, 영어로는 Ultra-Chromatic 이라하며 한국에서는 이를 초반음계(超半音階)라고 번역하고 있지만, 이 용어는 반음(단2도)음정보다 작은 미세/미분음정에 대한 용어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Chromatic을 반음음정의 나열인 반음계로 번역하면 오독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초월크로매틱으로 번역했다. [본문으로]
  6. Anti-modernism. 독일어 원문에는 Gegenmoderne 즉 '반현대' 이지만 현대와 모던이즘의 모던은 한국어에서 받아들이는 개념적, 미학적 이해가 다르므로 맥락상 안티-모던니즘으로 번역했다. [본문으로]
  7. Julián Carrillo (1875-1965) 멕시코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바이올리니스트, 음악이론가 [본문으로]
  8. Jörg Mager(1880-1939). 독일의 음악가이자 발명가. 초기 전자음악의 개척자로 평가됨. [본문으로]
  9. muscial pantagraph. 도형을 임의의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해서 그릴 수 있는 제도기를 팬터그래프라고 하는데 이에 착안해 음정을 축소 확대한다는 의미에서 이 개념을 차용. [본문으로]
  10. Jean Etienne Marie (1917-1989). 프랑스 작곡가. [본문으로]
  11. Easly Blackwood Jr. (1933-)미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 음악이론가. 독일어 원문에는 주니어(Jr.) 표시가 없지만 원문이 설명한 인물은 그의 동명의 아버지가 아니므로 번역문에서 주니어를 표기했다. [본문으로]

'음악아티클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토널리티 I - G.F. 하아스  (0) 2020.09.25